카테고리 없음

us오픈 테니스 대회! 정현 베르다스코

뚜스따스 2019. 8. 30. 13:29
반응형

us오픈 테니스 대회! 정현 베르다스코 

 

 

 

 

 

 

US 오픈(US Open)은 매년 개최되는 4대 그랜드 슬램 테니스 대회의 하나이다. 이 대회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테니스 대회 중 하나로 1881년 처음 시작되었다. 매년 8~9월 미국 노동절을 전후하여 2주에 걸쳐 열리며, 그랜드 슬램 대회 중에서는 연중 가장 마지막으로 열린다. 메인 경기는 남자 단식, 여자 단식, 남자 복식, 여자 복식, 혼합 복식의 5개 부문으로 나뉘어 있으며, 여기에 더해 주니어, 시니어, 휠체어 부문이 있다. 1978년부터 뉴욕 퀸즈(Queens)의 플러싱 메도우-코로나 파크 (Flushing Meadows-Corona Park)에 있는 아크릴 소재 하드 코트인 ‘전미테니스협회 빌리진킹 국립 테니스 경기장’에서 열리고 있다.

US 오픈은 나머지 그랜드 슬램 대회들과 달리 마지막 세트에서도 타이브레이크를 적용한다. 나머지 대회들의 경우, 남자 경기의 5세트나 여자 경기의 3세트에서는 게임 스코어가 6-6 동률이 되어도 타이 브레이크 적용 없이 어느 한 쪽이 2게임을 내리 따낼 때까지 계속해서 경기를 진행한다.

US 오픈은 최초에 상류층의 고급 오락으로 시작하여, 오늘날에는 600명 이상의 남녀 선수들이 1900만 달러의 총상금과 150만 달러의 단식 우승 상금(2008년 기준)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챔피언십 대회로 성장하였다.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내셔널 챔피언십이라는 이름으로 대회가 개최되기 시작한 첫 몇 년간은 남자 단식 경기만이 진행되었다. 제1회 대회는 1881년 로드아일랜드주 뉴포트의 뉴포트 카지노에서 개최되었으며, 이 때에는 미국 론 테니스 협회에 가입된 클럽의 회원에게만 참가 자격이 주어졌다. 1884년부터 1911년 대회는 우승자가 다음 해 대회 결승에 자동으로 진출하고 새로운 결승 진출자가 이에 도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915년에는 대회 장소가 뉴욕 주 포레스트힐즈의 웨스트 사이드 테니스 클럽으로 변경되었다. 1921년부터 1923년까지는 대회 장소가 필라델피아의 저먼타운 크리켓 클럽으로 이동되었다가, 1924년에 다시 포레스트힐즈로 돌아왔다.

남자 경기만 존재하는 국내 대회 형태로 첫 대회가 열린 지 6년만인 1887년, 여자 단식 챔피언십이 역시 국내 대회의 형태로 필라델피아 크리켓 클럽에서 개최되었으며, 1889년에는 여자 복식 챔피언십도 개최되었다. 혼복 챔피언십도 여자 단식 및 복식과 함께 진행되었다. 최초의 남자 복식 챔피언십은 1900년에 개최되었으며, 미국 서부와 동부에서 각각 대회를 개최하여 각 지역 우승자를 가린 후 다시 플레이오프를 진행하여 다음 해의 디펜딩 챔피언으로 최종 결승에 자동 진출할 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968년 5개 부문의 대회들이 통합되어 뉴욕 주 포레스트힐즈의 웨스트 사이드 테니스 클럽에서 US 오픈이 개최되기 시작하면서 오픈 시대가 막을 올렸다. 이 때부터 대회는 프로 선수들에게도 개방되기 시작했다. 이 해 대회에는 96명의 남자 선수들과 63명의 여자 선수들이 참가했으며, 총상금은 10만 달러였다.(2010년 기준 가치로 약 625,336달러)

1970년 US 오픈은 그랜드 슬램 대회로서는 최초로 마지막 세트에서 타이브레이크를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현재에도 마지막 5세트에서 타이브레이크를 적용하는 그랜드 슬램 대회는 US 오픈이 유일하다.

 

 

 

 

 

 



US 오픈의 코트 재질은 몇 번에 걸쳐 바뀌었는데, 지미 코너스는 그 모든 종류의 코트에서 우승한 유일한 선수이다. 크리스 에버트는 두 종류의 코트에서 우승했다. 현재 코트 재질로 사용되고 있는 데코터프는 다른 하드 코트 종류에 비해서도 마찰력이 좀더 적어, 하드 코트 중에서는 바운드가 가장 낮고 빠른 코트로 알려져있다. 특히 호주 오픈에서 2007년까지 사용되었던 리바운드 에이스와 비교할 경우 더욱 그렇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많은 서브 앤 발리 전문 선수들이 US 오픈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 왔다.

메인 코트인 아서 애시 스타디움은 1997년 개장하였으며 22,547개의 좌석을 갖추고 있다. 이 경기장의 이름은 오픈 시대 첫 대회였던 1968년 대회 남자 단식 우승자인 아서 애시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두 번째로 규모가 큰 코트는 루이 암스트롱 스타디움으로 1978년 개장하였으며 공연용 원형 스타디움을 개조하여 만들어졌다. 이 경기장은 1978년부터 1996년까지 메인 스타디움으로 사용되었으며 한때 최대 18,000명까지 수용 가능했으나 아서 애시 스타디움 개장 이후 수용인원을 5,500으로 축소했다. 세 번째로 규모가 큰 코트는 그랜드스탠드 스타디움(Grandstand Stadium)으로, 루이 암스트롱 스타디움의 부설 코트로 만들어져 있다. 또한 사이드 코트들 중 4, 7, 11번 코트도 1,000개 이상의 좌석을 갖추고 있다.


 

 

 

 

 

 

 

 

 

 

 


US 오픈에서 사용되는 모든 코트에는 야간 조명 시설이 갖춰져 있어 미국 텔레비전 방송 황금시간대에 경기 생중계가 가능하다. USA Network와 CBS는 수 년간 US 오픈의 야간 경기를 생중계해오고 있다. 

2005년부터 US 오픈 및 US 오픈 시리즈 대회에서 사용되는 모든 코트의 색깔이 변경되어, 기존에 모든 면이 초록색이었던 것을 코트 안쪽의 색을 파란색으로 바꾸었다. 이는 텔레비전 화면에서 공이 더 잘 식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US 오픈 경기장소인 USTA 내셔널 테니스 센터는 이 대회 4회 우승자이자 세계 여자 테니스계의 선구자적 역할을 했던 빌리 진 킹의 이름을 따 2006년 대회부터 USTA 빌리진킹 내셔널 테니스 센터로 개명되었다. 

 

남자단식 수상



남자 단식
연도 우승 준우승
1926 프랑스의 기 프랑스 르네 라코스트 프랑스의 기 프랑스 장 보로트라
1933 영국의 기 영국 프레드 페리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잭 크로퍼드
1956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켄 로즈월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루 호드
1957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말 앤더슨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애슐리 쿠퍼
1958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애슐리 쿠퍼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맬 앤더슨
1959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닐 프레이저 페루의 기 페루 알렉스 올메도
1960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닐 프레이저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로드 레이버
1961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로이 에머슨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로드 레이버
1962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로드 레이버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로이 에머슨
1963 멕시코의 기 멕시코 라파엘 오수나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프랭크 프롤링
1964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로이 에머슨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프레드 스톨
1965 스페인의 기 스페인 마누엘 산타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기 남아프리카 공화국 클리프 드라이즈데일
1966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프레드 스톨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존 뉴컴
1969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로드 레이버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토니 로체
1970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켄 로즈월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토니 로체
1972 루마니아의 기 루마니아 일리에 나스타시 미국의 기 미국 아서 애시

 

 

 

 

 

 

 

 

 

 

 

 

 

 


1973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존 뉴컴 체코의 기 체코 얀 코데시
1974 미국의 기 미국 지미 코너스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켄 로즈월
1975 스페인의 기 스페인 마누엘 오란테스 미국의 기 미국 지미 코너스
1976 미국의 기 미국 지미 코너스 스웨덴의 기 스웨덴 비외른 보리
1977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 기예르모 빌라스 미국의 기 미국 지미 코너스
1978 미국의 기 미국 지미 코너스 스웨덴의 기 스웨덴 비외른 보리
1979 미국의 기 미국 존 매켄로 미국의 기 미국 비터스 제럴라이티스
1980 미국의 기 미국 존 매켄로 스웨덴의 기 스웨덴 비외른 보리
1981 미국의 기 미국 존 매켄로 스웨덴의 기 스웨덴 비외른 보리
1982 미국의 기 미국 지미 코너스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1983 미국의 기 미국 지미 코너스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1984 미국의 기 미국 존 매켄로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1985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미국의 기 미국 존 매켄로
1986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체코의 기 체코 밀로슬라프 메치르시
1987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스웨덴의 기 스웨덴 매츠 빌랜더
1988 스웨덴의 기 스웨덴 매츠 빌랜더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1989 독일의 기 독일 보리스 베커 체코의 기 체코 이반 렌들
1990 미국의 기 미국 피트 샘프러스 미국의 기 미국 앤드리 애거시
1991 스웨덴의 기 스웨덴 스테판 에드베리 미국의 기 미국 짐 쿠리어
1992 스웨덴의 기 스웨덴 스테판 에드베리 미국의 기 미국 피트 샘프러스
1993 미국의 기 미국 피트 샘프러스 프랑스의 기 프랑스 세드릭 피올린
1994 미국의 기 미국 앤드리 애거시 독일의 기 독일 미카엘 슈티히
1995 미국의 기 미국 피트 샘프러스 미국의 기 미국 앤드리 애거시
1996 미국의 기 미국 피트 샘프러스 미국의 기 미국 마이클 창
1997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패트릭 라프터 영국의 기 영국 그렉 루제드스키
1998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패트릭 라프터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마크 필리포시스
1999 미국의 기 미국 앤드리 애거시 미국의 기 미국 토드 마틴
2000 러시아의 기 러시아 마라트 사핀 미국의 기 미국 피트 샘프러스
2001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레이턴 휴잇 미국의 기 미국 피트 샘프러스
2002 미국의 기 미국 피트 샘프라스 미국의 기 미국 앤드리 애거시
2003 미국의 기 미국 앤디 로딕 스페인의 기 스페인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
2004 스위스의 기 스위스 로저 페더러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레이턴 휴잇
2005 스위스의 기 스위스 로저 페더러 미국의 기 미국 앤드리 애거시
2006 스위스의 기 스위스 로저 페더러 미국의 기 미국 앤디 로딕
2007 스위스의 기 스위스 로저 페더러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2008 스위스의 기 스위스 로저 페더러 영국의 기 영국 앤디 머리
2009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 스위스의 기 스위스 로저 페더러
2010 스페인의 기 스페인 라파엘 나달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2011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스페인의 기 스페인 라파엘 나달
2012 영국의 기 영국 앤디 머리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2013 스페인의 기 스페인 라파엘 나달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2014 크로아티아의 기 크로아티아 마린 칠리치 일본의 기 일본 니시코리 게이
2015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스위스의 기 스위스 로저 페더러
2016 스위스의 기 스위스 스탄 바브린카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노바크 조코비치

 

 

 

 

 

여자 단식 수상


1937 칠레의 기 칠레 아니타 리자나 폴란드의 기 폴란드 자드비스카 예드셰요브스카
1959 브라질의 기 브라질 마리아 부에노 영국의 기 영국 크리스틴 트루먼 제인스
1963 브라질의 기 브라질 마리아 부에노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마거릿 코트
1969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마거릿 코트 미국의 기 미국 낸시 리치
1970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마거릿 코트 미국의 기 미국 로즈마리 카잘스
1971 미국의 기 미국 빌리 진 킹 미국의 기 미국 로즈마리 카잘스
1972 미국의 기 미국 빌리 진 킹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케리 멜빌
1973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마거릿 코트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이본 굴라공 콜리
1974 미국의 기 미국 빌리 진 킹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이본 굴라공 콜리
1975 미국의 기 미국 크리스 에버트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이본 굴라공 콜리
1976 미국의 기 미국 크리스 에버트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이본 굴라공 콜리
1977 미국의 기 미국 크리스 에버트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웬디 턴불
1978 미국의 기 미국 크리스 에버트 미국의 기 미국 팸 슈리버
1979 미국의 기 미국 트레이시 오스틴 미국의 기 미국 크리스 에버트
1980 미국의 기 미국 크리스 에버트 체코의 기 체코 하나 만들리코바
1981 미국의 기 미국 트레이시 오스틴 미국의 기 미국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1982 미국의 기 미국 크리스 에버트 체코의 기 체코 하나 만들리코바
1983 미국의 기 미국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미국의 기 미국 크리스 에버트
1984 미국의 기 미국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미국의 기 미국 크리스 에버트
1985 체코의 기 체코 하나 만들리코바 미국의 기 미국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1986 미국의 기 미국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체코의 기 체코 헬레나 수코바
1987 미국의 기 미국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독일의 기 독일 슈테피 그라프
1988 독일의 기 독일 슈테피 그라프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1989 독일의 기 독일 슈테피 그라프 미국의 기 미국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1990 아르헨티나의 기 아르헨티나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독일의 기 독일 슈테피 그라프
1991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기 유고슬라비아 모니카 셀레스 미국의 기 미국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1992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기 유고슬라비아 모니카 셀레스 스페인의 기 스페인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1993 독일의 기 독일 슈테피 그라프 체코의 기 체코 헬레나 수코바
1994 스페인의 기 스페인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독일의 기 독일 슈테피 그라프
1995 독일의 기 독일 슈테피 그라프 미국의 기 미국 모니카 셀레스
1996 독일의 기 독일 슈테피 그라프 미국의 기 미국 모니카 셀레스
1997 스위스의 기 스위스 마르티나 힝기스 미국의 기 미국 비너스 윌리엄스
1998 미국의 기 미국 린지 대븐포트 스위스의 기 스위스 마르티나 힝기스
1999 미국의 기 미국 세리나 윌리엄스 스위스의 기 스위스 마르티나 힝기스
2000 미국의 기 미국 비너스 윌리엄스 미국의 기 미국 린지 대븐포트
2001 미국의 기 미국 비너스 윌리엄스 미국의 기 미국 세리나 윌리엄스
2002 미국의 기 미국 세리나 윌리엄스 미국의 기 미국 비너스 윌리엄스
2003 벨기에의 기 벨기에 쥐스틴 에냉 벨기에의 기 벨기에 킴 클리스터스
2004 러시아의 기 러시아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러시아의 기 러시아 엘레나 데멘티에바
2005 벨기에의 기 벨기에 킴 클리스터스 프랑스의 기 프랑스 마리 피르스
2006 러시아의 기 러시아 마리아 샤라포바 벨기에의 기 벨기에 쥐스틴 에냉
2007 벨기에의 기 벨기에 쥐스틴 에냉 러시아의 기 러시아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2008 미국의 기 미국 세리나 윌리엄스 세르비아의 기 세르비아 옐레나 얀코비치
2009 벨기에의 기 벨기에 킴 클리스터스 덴마크의 기 덴마크 카롤리네 보스니아키
2010 벨기에의 기 벨기에 킴 클리스터스 러시아의 기 러시아 베라 즈보나레바
2011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사만다 스토서 미국의 기 미국 세리나 윌리엄스
2012 미국의 기 미국 세리나 윌리엄스 벨라루스의 기 벨라루스 빅토리아 아자렌카
2013 미국의 기 미국 세리나 윌리엄스 벨라루스의 기 벨라루스 빅토리아 아자렌카
2014 미국의 기 미국 세리나 윌리엄스 덴마크의 기 덴마크 카롤리네 보스니아키

 

 

 

 

 

 


정현, 'US오픈 테니스 대회' 2회전 '대역전승'...정현-베르다스코

9월1일, 나달-정현 3회전 대결

정현(세계랭킹 170위·한국)이 세계랭킹 34위 페르난도 베르다스코(스페인)를 상대로 시즌 마지막 메이저 테니스 대회인 US오픈 테니스 대회 남자단식 2회전에서 풀세트까지가는 접전끝에 3대2로 승리하며 3회전에 진출했다.


정현이 올 시즌 마지막 메이저 테니스 대회 US오픈 테니스 대회(총상금 5700만달러·약 690억원) 남자 단식 2회전에서 베르다스코에 3대2로 승리하며 3회전에 진출, 나달과 맞붙게됐다.

정현과 베르다스코의 US오픈 테니스 대회 2회전 경기는 30일 오전 6시부터 진행된 가운데 1세트는 6대1, 2세트도 6대2로 내주고 말았다.



3세트에서는 정현이 접전끝에 7대5로 따냈다. 4세트에서는 6대3으로 승리, 경기를 5세트까지 끌고갔다.

5세트는 타이브레이크까지가는 접전끝에 정현이 7대6으로 승리하며 3회전 진출을 확정했다.

정현은 9월1일 3회전에서 나달과 맞붙는다. 

정현과 베르다스코의 US오픈 남자단식 2회전 경기는 JTBC3 폭스 스포츠를 통해 생중계됐다.

앞서 정현은 28일 US오픈 1회전에서 에르네스토 에스커베도(세계랭킹 206위·미국)를 상대로 3-2(3-6 6-4 6-7 6-4 6-2)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며 2회전에 진출했다.

출처 : 시민의소리(http://www.siminsori.com)

 

 

 

 

 

 

 

 

 

 

 

 

 

 

 

한국 테니스의 간판 정현(제네시스 후원, 한국체대, 세계 랭킹 170위)이 US오픈 3회전에서 '흙신' 라파엘 나달(스페인, 세계 랭킹 2위)을 만난다.

정현은 30일(이하 한국 시간) 미국 뉴욕 빌리진 킹 테니스센터 10번 코트에서 열린 2019년 US오픈 테니스 대회 남자 단식 2회전에서 페르난도 베르다스코에게 세트스코어 3-2(1-6 2-6 7-5 6-3 7-6<3>)로 역전승했다.

정현은 1, 2세트를 무기력하게 내주며 벼랑 끝에 몰렸다. 그러나 3세트부터 제 기량을 회복한 그는 분위기를 반전시켰다. 3세트를 잡으며 위기에서 탈출한 정현은 뒷심을 발휘하며 대역전 드라마의 주인공이 됐다.

정현의 US오픈 개인 최고 성적은 2017년 지난해 거둔 2회전 진출이다. 이번 대회에서 3회전에 오른 그는 US오픈 개인 최고 성적을 거뒀다. 16강으로 가는 길목에서 정현을 기다리고 있는 이는 나달이다. 노박 조코비치(세르비아, 세계 랭킹 1위) 로저 페더러(스위스, 세계 랭킹 3위)와 '빅3'로 불리는 나달은 살아 있는 테니스의 전설이다.

정현은 남자 프로 테니스(ATP) 투어에서 나달과 두 번 만났다. 결과는 모두 패배였다. 나달과 펼치는 세 번째 대결 무대는 US오픈이 됐다.

4개 그랜드슬램 대회(호주오픈 롤랑가로스 프랑스오픈 윔블던 US오픈)에서 정현은 '빅3'와 모두 경기를 치르게 됐다. 정현은 2016년 호주 오픈 1회전에서 당시에도 세계 랭킹 1위였던 조코비치를 만났다. 결과는 0-3 패배였지만 인상적인 경기를 펼치며 가능성을 증명했다.

지난해 호주오픈 16강전에서 정현은 조코비치와 재회했다. 이 경기에서 정현은 자신의 기량을 100% 이상 발휘했다. 조코비치는 당시 팔꿈치 부상이 있었지만 여전히 우승 후보였다. 매 세트 조코비치와 접전을 펼친 정현은 3-0으로 승자가 됐다.

이 대회에서 그는 4강에 진출하며 한국 테니스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결승으로 가는 길목에서 만난 이는 '황제' 페더러였다. 정현은 페더를 상대로 선전했지만 발바닥 물집 부상으로 기권했다.정현은 그랜드슬램 대회에서 마침내 나달까지 만났다. 나달은 US오픈에서 세 번(2010 2013 2017) 우승했다. US오픈은 클레이코트가 아닌 하드코트에서 열리지만 나달은 이 대회에서도 꾸준하게 좋은 성적표를 받았다.

나달은 이번 대회에서 출발이 빅3 가운데 가장 좋다. 페더러는 1, 2회전에서 모두 1세트를 내준 뒤 역전승했다. 조코비치는 왼쪽 어깨 부상으로 힘겹게 경기를 치르고 있다. 반면 나달은 1회전에서 존 밀만(호주, 세계 랭킹 60위)을 3-0으로 가볍게 눌렀고 2회전은 기권승을 거뒀다.

2017년 4월 스페인 바르셀로나 오픈 8강전에서 정현을 만난 나달은 세트스코어 2-0(7-6<1> 6-2)으로 이겼다. 당시 정현은 1세트에서 타이브레이크까지 가는 접전을 펼쳤다. 이 경기를 마친 나달은 "정현은 훌륭한 백핸드를 가지고 있고 매우 빠르다. 정말 좋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며 칭찬했다.

정현과 나달이 펼치는 US오픈 단식 3회전은 다음 달 1일 열린다.

스포티비뉴스=조영준 기자

 

 

 

 

 

 

 

 

 

 

 

 

 

 

 

 






김동찬 기자 = 시모나 할레프(4위·루마니아)가 US오픈 테니스대회(총상금 5천700만달러·약 690억원) 2회전에서 탈락했다.

할레프는 2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빌리진 킹 내셔널 테니스 센터에서 열린 대회 나흘째 여자단식 2회전에서 테일러 타운센드(116위·미국)에게 1-2(6-2 3-6 6-7<4-7>)로 졌다.

지난해 프랑스오픈, 올해 윔블던에서 우승한 할레프는 US오픈에서는 2017년과 2018년 연속 1회전 탈락에 이어 올해는 2회전에서 떨어지는 등 좋지 않은 결과가 이어졌다.

타운센드는 2014년 프랑스오픈 이후 5년여 만에 메이저 대회 3회전에 이름을 올렸다.


15세 코리 가우프(140위·미국)는 티메아 바보스(112위·헝가리)를 2-1(6-2 4-6 6-4)로 따돌리고 3회전에 올랐다.

올해 윔블던에서 16강까지 진출하는 이변을 일으킨 가우프는 3회전에서 세계 랭킹 1위 오사카 나오미(일본)를 상대한다.

가우프는 1996년 안나 쿠르니코바(러시아) 이후 이 대회 여자 단식 3회전에 오른 최연소 선수가 됐다. 당시 쿠르니코바도 15세였다.

오사카는 2회전에서 마그다 리네테(53위·폴란드)를 2-0(6-2 6-4)으로 잡고 3회전에 진출했다. 

부모가 모두 한국인인 교포 선수 크리스티 안(141위·미국)도 3회전에 합류했다.

안은 이날 안나 칼린스카야(127위·러시아)를 2-0(6-2 6-3)으로 물리쳤다.

안혜림이라는 한국 이름이 있는 안은 3회전에서 옐레나 오스타펜코(77위·라트비아)와 맞붙는다.

안은 오스타펜코와 올해 한 차례 만나 2-1(2-6 7-6<7-5> 7-5) 승리를 거뒀다.

여자 단식에서는 페트라 크비토바(6위·체코)도 안드레아 페트코비치(88위·독일)에게 0-2(4-6 4-6)로 져 탈락했다.

반응형